음... 책을 보고 예제를 안 짜니 왠지 잊어버릴것만 같은 느낌. 이 책을 보게 된 이유는 Apkzipper를 Tcl/Tk로 짜려고 생각했기 때문. 처음엔 문법이 굉장히 단순하고 크로스플랫폼 GUI라니! 라고 생각을 했지만, 역시 사용층이 적다는 건 좀 문제였다 ㅠㅠ게다가 언어 자체가 TclOO를 제외하면 절차지향적이라서...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좀 어려움을 느꼈다.결정적으로 문법이 단순하다고 코딩이 단순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 표준 함수라든가 그런 것들도 알아야 쉬이 짤 수 있는 것인데. 결국 배우는데 오래 걸리게 되었다. (허투루 배우다가 헤맨 것도 한 몫 할 것이다) 좀 이상한 잡설이었다. chap25이전은 대충대충 넘어가 버려서 이번부터라도 따로 정리해두려고 한다. Part III. Tk..
처음엔 이빨빠진 번역이 보기 안 좋아서 메꿔보자는 식으로 시작했는데, 프로그램 업뎃이 꾸준하니 계속 케어해줘야하네요.번역때문에 추가된 텍스트를 보노라면 별별 기능이 추가되는 것도 같고 가끔은 대체 무슨 기능인지 몰라 찾아보는데도 프로그램에서 텍스트를 발견하기 실패하기도 하네요.보통 하루 간격 혹은 다음 버전에 공식 홈페이지에 반영이 되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이 파일을 굳이 받아서 적용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혹시 오역이라든가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면 되겠습니다. 2017-07-13 v1.4.1.877~895(바뀐 점이 없습니다) 프로그램 한글화랄까... 애용하는 Everything프로그램이 베타버전이 나와서 써보니까 이빨빠진 번역이 되어서 직접 번역해봤습니다 ㅋㅋ한글화는 이번이 처음이지만... 나름 성의는 들..
파수가 기술을 고도화해서 효과가 없어진 방법입니다… 예전엔 파수 모듈을 종료해도 이북을 볼 수 있고, 파수를 제거해도 프로세스가 사라지지 않았는데 이번에 다시 확인하니 둘 다 고쳐진 것 같네요. 파수 프로세스가 보기 싫으면 이북을 같이 포기하고 둘 다 제거하면 될 듯 합니다. 샛길이 없는 건 아니어서 Win+R - regedit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안의 f_ih, f_npm, Fasoo Process Service의 폴더 이름을 바꾸고 각 폴더 안의 Start 값을 3으로 바꾸고 리부팅하면 되긴 하는데 이북을 보려면 이걸 또 원래대로 돌려야해서 영 불편하네요. 이럴 바에야 프로그램 재설치랑 별 차이가 없다고 느꼈달까. 더보기 2..
+추가계속 검색하다 보니.. TCPNoDelay패치는 효과가 없었네요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FastReply가 효과가 있긴 하지만 가장 좋은 프로그램이파코즈에 있었네요. 제가 비교대상으로 한 패핑프로그램은 더 빨라보이긴 하지만 레지를 제거해주질 않아서 좀 신뢰가 안가는.. 차라리 이게 가장 낫다고 생각. 제 프로그램 쓰셔도 상관 없지만 저게 나을 듯요. 인터넷 속도를 전반적으로 올려주니까.음.. 더 좋은 프로그램을 발견해서 개발 종료합니다. 근데 뭘 체크해야 하는지는 또 모르겠네;; Ancillary빼고 다 체크했더니 최고로 빠르지는 않던데. 서버 상태 문제인지... 최근에 마비노기를 다시 시작했는데, 검꼬몽 상대로 윈드밀 수련하다가 너무 많이 죽었다. OTL 거의 80%를 차지하는 게 '윈드밀이 안 나가..
요즘 배치스크립트 대용으로 쓸만한 것이 없나 찾아서 Tcl/Tk를 배워보는 중인데, 가장 눈여겨 보는 부분이 '포터블'화 할 수 있는지이다. 이 기준으로 Tcl/Tk를 골랐다. Tclkit이란 것이 있어서 실행파일 하나로 만들기 굉장히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스파일이 그대로 드러나는 점은 단점 (방법이 없진 않지만 까다롭달까) 배치스크립트도 비슷하니 대용으론 괜찮다. 잡설 각설하고, Tclkit으로 실행파일을 만들었더니 아이콘 바꾸는게 그냥 되질 않더라.방금 구글링 해봤는데, 아이콘 바꾸는 프로그램이 있긴 하지만 reshacker를 수동으로 쓰는 방법이나, 혹은 이 경우에 동작하지 않았다;; (실행파일 브레이커..랄까) Ico Changer란 프로그램은 설치까지 다 시켜놓곤 삭제하려니까 권한이 없댄..
KLDP를 돌아다니다가 강좌글: Vi/Vim 단축키 모음에서 유용한 명령어요약을 찾았다. 옷! 이거 좋잖아! 라고 인쇄하려 했으나... CMYK중에서 Yellow, blacK만 멀쩡한지 컬러가 노란색 투성이가 됐다;; 각설하고, 이것 자체로도 vim배우기에 상당히 유용할 것 같지만, 호기심에 저것의 출처인 viemu사이트를 방문해 보았다. 그 홈피 메인에 있던 gif파일이 바로 아래이다. 딱 보고 느낀 점은, “무진장 실전적이다!” (실제로 그런지는 차치하고) 아직 hjkl보다 방향키를 쓰는 초보, 이걸 보고 연습해보기로 했다. 과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저 그림은 좀 빠르고 쓰는 키를 전부 알기 힘들어 (내가 촙이라서 그렇겠지..ㅠㅠ) 조사해보았다. 참고로 나는 VsVim로 실습했다. vsemu는 30..
tv팟에 영상을 올리고 싶은데 팟인코더를 써서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방법입니다 ㅇㅅㅇ방법만 빨리 알고 싶으면 스크롤을 확 내리세요. 음.. 이번에 owc를 보면서 그걸 나중에 Video탭에서 볼 수 있는 것인줄 모르고녹화해서 업로드 하려 했다가 결국 헛수고를 했다 ㅡㅡ; 하지만 삽질과정에서 얻은 기술들은 어디가는 게 아니므로 포스팅 ㄱㄱ? 일단 이번 삽질에서 얻은 건 2가지.1. rtmp capture2. tv팟에 적당한 인코더 순서가 뒤바뀌지만 2번부터 포스팅한다. 자.. 상황은 이렇다. rtmp로 얻은 영상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올리고 싶다. 유튜브에 올리려 했으나 길이제한을 받았다.tv팟은 길이제한이 없지만 현재 MPEG-4까지 밖에 지원해주지 않는다. (H264를 올리게 되면 강제변환 당할 뿐..
- Total
- Today
- Yesterday
- coroutine
- getch()
- Notion
- SHAREX
- Kotlin
- React
- C++11
- CLion
- MSVC
- Authentication
- V3 Lite
- MSVC2013
- Code Snippet
- Rust
- intellisense
- IntelliJ
- Deemo
- error highlighting
- Qt5
- novel review
- game design
- software compraison
- hooks
- Windows Defender
- MSVC 2017 RC
- C/C++
- WSL
- Haskell
- JWT
- gra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