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장. 자료구조 - 배열, 연결 리스트 1. 자료구조란.. 앞에서 구조화 프로그래밍이란 개념을 배웠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내가 본 옛날 C코드 중에 코드와 데이터를 구분하지 않고 실행하는 것 같은 소스가 있었다. 아마 비구조적 프로그래밍이 이런 것이 아닐까 싶은데, 마침 찾을 수 있었으니 첨부한다. /* 지금의 컴파일러도 해석할 수 있게 살짝 수정했다. Visual studio에선 돌아간다. *//* http://www.cs.cf.ac.uk/Dave/C/node4.html#SECTION00400000000000000000 */#include int main(int t,int _,char* a){return!0Insert_after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걸 비슷한 코드 2개를 만들어버렸다. 원인을 ..
2. C 언어 1. 컴퓨터 언어의 흐름 아마도 당연한 얘기. 처음 시작은 천공카드부터 시작해서 기계어, 어셈블리어로 왔다. 어셈블리어는... 당연히 쓰기 어렵다.FORTRAN, COBOL, BASIC이 이때 쓰였다는데, Function개념이 이때 처음 쓰였다고 한다. 하지만 제어구조가 원시적이어서goto문의 남발로 인한 스파게티코드의 진수라고 불렀다는데, BASIC이 그런가? 지금은 개량된 건가? 2. 프로그래밍 개념 데이터·코드의 추상화: 그냥 데이터와 코드가 구체적이지 않게 된다. 고급언어의 코드와 데이터를 떠올리면 쉽다. 구조적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ming은 goto문을 쓰지 않고도 process, decision, iteration제어만으로 모든 프로그램이 표현가능하다는 것을..
1. 개요 1. 알고리즘의 정의 책이서는 알고리즘의 정의를 이렇게 하고 있다. “알고리즘이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잘 정의된 동작들의 유한 집합이다.” 2.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와의 관계 그냥 밀접한 관계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말이지..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임은 명백하다.책에서는 그 관계를 계란의 노른자와 흰자로 비유했는데, 그 전체 크기가 정해져 있어 한쪽이 복잡해지면 다른 쪽이 단순해진다고 했다.예를들어 스택이 큐같은 자료구조는 그 자체로 자료를 취급하는 행위까지 규정하고 있어 추상적인 자료형Abstracted data type이라 한다. 이렇게 자료구조가 행위적 측면을 포함하면 알고리즘은 그 행위적 측면때문에 단순해진다고 했다. 책만 봐서 그런지 잘은 모르겠지만, 행위적..
- Total
- Today
- Yesterday
- coroutine
- error highlighting
- Rust
- MSVC 2017 RC
- SHAREX
- V3 Lite
- hooks
- intellisense
- Deemo
- CLion
- Qt5
- IntelliJ
- game design
- Windows Defender
- getch()
- Authentication
- novel review
- MSVC
- Kotlin
- C/C++
- C++11
- Haskell
- Notion
- Code Snippet
- JWT
- MSVC2013
- React
- WSL
- gram
- software comprais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